현 정부에 대한 불만, 현역 정치권의 불통행보도 진보 표심 잃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약 25만표차로 따돌리고 당선된 가운데, 연수구 관내 15개 동 중 동춘2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윤 후보가 이재명 후보보다 득표율이 앞서 연수구의 민심에 대한 보수세가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의 연수구 득표율은 51.49%(12만7768표)로 연수구 유권자(투표자)의 절반이 넘는 지지를 받았다.
인천에서 강화군(60.96%), 옹진군(59.99%)에 이어 연수구가 3번째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것으로 연수구의 보수진영의 지지세가 타 지자체에 비해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수 후보가 난립했던 19대 대선 때 자유한국당 홍준표,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가 받았던 표를 합친 50.08%보다 1.41%포인트(P) 높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연이은 실패와 코로나19 방역정책이 결과적으로 소상공인을 옥죄는 정책으로 전락해버린 불만이 이번 대선에서 표로 드러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는 연수구 대부분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 포진되어 있는 현역 국회의원, 시의원, 구의원 등 정치권이 연수구민의 민심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고 불통으로 인해 쌓인 불만이 이번 대선에서 보수진영의 승리로 나타났다는 주장이 제기되 주목된다.
연수구갑, 재개발-재건축 문제, GTX-B 수인선 정차, 송도역 복합환승센터 주민 요구 외면
연수구 선학, 옥련, 청학, 연수, 동춘 등 원도심의 경우 상당수 아파트 단지가 1기신도시로 건축연한이 30년에 다다르고 있다. 특히 미사일기지로 인한 고도제한에 막혀 각종 개발에 제약을 받아온 동춘, 청학, 옥련, 선학동 등 주민들이 고도제한 해제를 목 놓아 요구하고 있지만 미사일기지가 이전한 지 십수년이 지났음에도 현역 지역 정치권에서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지난해 8월 송도역 복합환승센터가 국토부 계획에서 빠져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일었지만, 연수구 원도심의 현역 정치권 누구도 이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내지 않았다.
전국적으로 최대 이슈로 몰이하고 있는 GTX-B 노선의 수인선 정차 역시 연수구 원도심 주민들이 수 차례 민원과 서명운동 등 다양한 목소리를 내고 있음에도 연수구청장을 비롯해 연수구 갑 박찬대 국회의원과 시의원 모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연수구을, 인천타워 151층 건립, 화물주차장 반대 등 주민과 정치권 반대 노선
연수구을은 경제자유구역인 송도국제도시로서 인천에서 가장 많은 현안과 이슈가 떠오르는 지역이다.
특히 약 6만7천여명의 회원이 활동하는 지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다양한 현안과 행정에 대한 민원 등을 인천시, 연수구, 경제청 등에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등, 주민들이 움직임이 다른 어느 지역보다 활발하다.
그러나 이들이 최근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는 인천타워 151층 건립 추진, 9공구 아암물류 2단지 화물주차장 반대 등에 대해 현역 민주당 정일영 국회의원을 비롯한 같은 당 김희철 시의원, 구의원 등은 이 같은 지역 민원에 대해 전혀 반대되는 행보를 보이고 있어 상당한 질타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정 의원의 10대공약 중 하나였던 GTX-B노선 2021년 조기 착공도 물건너 무산됐고, 또 다른 공약이었던 인천타워 건립에 층수 문제에 대한 충돌로 관련해 주민들이 수개월 째 경제청에서 천막농성을 펼치고 있지만, 모두 미온적인 움직임으로 완전히 엇갈리는 행보를 보여왔다.
6.1지방선거, 특정 당이 아닌 주민의 목소리를 귀담는 후보에게 표심 이동될 것.
이 처럼 현역 정치권에 갑과 을 국회의원, 시의원 전체 , 구의원 절반이 민주당 후보로 포진되어 있는 연수구가 이번 대선에서 국민의 힘을 지지한 것에 대한 이유를 두고 여러 의견이 있지만 대부분의 주민들은 현역 의원들이 민의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한 결과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특히 송도국제도시가 있는 연수구는 인천에서 30~40대 비율 가장 많은 곳으로 내가 사는 곳의 발전과 행정 등에 관심이 다른 지역보다 높다.
30~40대 비율이 높음에도 절반 이상이 국민의 힘을 지지했다는 것은 그동안 현 집권당이 민의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는 것이고, 특정 당을 단순히 지지하는 것이 아닌 시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귀를 기울이는 후보에게 표심이 옮겨진다는 반증으로 풀이될 수 있다. 6·1 지방선거에서도 이러한 민심이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주목된다.